본문 바로가기
영화정보

2025년 휴무일 월별에 따른 공휴일 목록 휴무일 총정리 자주 묻는 질문

by 정보 한아름 2024. 10. 18.
728x90
반응형

 

 

 

 

2025년은 다양한 공휴일과 대체휴무일이 있어 많은 분들이 기대하고 계실 것 같습니다. 
을사년 푸른 뱀의 해를 맞이한 2025년 우리 모두의 일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휴일과 대체휴무일, 그리고 주말을 포함하여 총 휴일 수를 알아보겠습니다. 특히, 각 휴일의 날짜와 함께 총 휴무일 수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각 날짜를 정리하면서, 이 날들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팁도 함께 드리겠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의 공휴일과 대체 휴무일을 총정리해 가며 알아볼까요?

 


 

2025년에는 총 120일의 휴무일이 있으며, 근무일수는 245일입니다. 이는 주 5일 근무를 기준으로 한 수치입니다. 특히, 3일 이상 이어지는 연휴가 6번이나 있어, 장기 여행을 계획하기에 좋은 해가 될 것입니다.

 

 

월별에 따른 공휴일 목록 


2025년의 월별 공휴일을 정리해 보면 다음과 같습니다

1월 : 1일(수) - 신정  
         28일~30일(화~목) - 설날
3월 : 1일(토) - 삼일절

         3일(월) - 대체휴일
5월 : 1일(목) - 근로자의 날

         5일(월) - 어린이날, 부처님 오신 날

         6일(화) - 대체휴일
6월 : 6일(금) - 현충일
8월 : 15일(금) - 광복절
10월 : 3일(금) -개천절
           6일(월)~8일(수) - 추석연휴
           9일(목) - 한글날
12월 : 25일(목) - 크리스마스

※공휴일이 없는 달은 2월, 4월, 7월, 9월, 11월 5개월은 주말 제외한 공휴일이 없습니다.




공휴일을 3개월씩 끊어 설명드려 보겠습니다

1월 : 1일(수) - 신정, 
         28일~30일(화~목) - 설날
3월 : 1일(토) - 삼일절

신정 (1월 1일, 수) : 1월 1일 신정은 수요일로, 주중의 한가운데 위치하여 긴 연휴를 기대하기 어렵습니다.
설날 연휴 (1월 28일~1월 30일) : 설날 연휴는 월요일부터 수요일까지로 주어지며, 주 5일 근무자라면 1월 27일(월) 하루 연차를 사용하여 1월 25일(토요일)부터 1월 30일(목요일)까지 총 6일간의 연휴를 즐길 수 있습니다. 추가적으로 1월 31일(금) 하루 더 연차를 사용하면 2월 2일(일)까지 9일간의 황금연휴가 됩니다.
삼일절 (3월 1일, 토) : 삼일절은 토요일과 겹쳐 추가 휴일을 기대할 수 없습니다.




5월 : 5일(월) - 어린이날, 부처님 오신 날
6월 : 6일(금) - 현충일

어린이날과 부처님 오신 날 (5월 5일, 월) : 2025년 5월 5일은 어린이날과 부처님 오신 날이 겹치는 날로, 다음날 6일(화) 대체공휴일이 적용됩니다.
현충일 (6월 6일, 금) : 현충일은 금요일로 주어져, 6월 6일(금)부터 6월 8일(일)까지 3일간의 연휴를 보낼 수 있습니다.




8월 : 15일(금) - 광복절

광복절 (8월 15일, 금) : 광복절은 금요일로 주어져, 8월 15일(금)부터 8월 17일(일)까지 3일간의 연휴를 즐길 수 있습니다.




10월 : 3일(금) -개천절
            6일(월)~8일(수) - 추석연휴
            9일(목) - 한글날
12월 : 25일(목) - 크리스마스

 

개천절 (10월 3일, 금) : 개천절과 추석 연휴, 한글날이 이어져 있어, 10월 3일(금)부터 10월 9일(목)까지 7일간의 긴 연휴가 주어집니다. 주 5일 근무자는 10월 10일(금) 하루 연차를 추가로 사용하면 10월 3일(금)부터 10월 12일(일)까지 총 10일간의 황금연휴를 즐길 수 있습니다.
크리스마스 (12월 25일, 목) : 크리스마스는 목요일로 주어져, 주 5일 근무자는 12월 26일(금) 하루 연차를 사용하면 12월 25일(목)부터 12월 28일(일)까지 4일간 휴일을 보낼 수 있게 됩니다.

 

 


2025년 휴무일 총 정리

 


2025년의 총 휴무일 수는 다음과 같습니다:

총 휴무일 : 120일 (공휴일 : 19일 / 그 외 주말)
총 근무일 : 245일
2025년에는 총 19일의 공휴일이 예정되어 있습니다.  이 중 법정 공휴일은 17일이며, 대체공휴일이 2일 포함되어 있습니다. 공휴일은 주말과 겹치는 경우가 많아, 이를 잘 활용하면 긴 연휴를 즐길 수 있습니다.

2025년에 주 5일 근무자라면 3일 이상 쉬는 연휴가 총 6번입니다 
👍🏼 1월 28~30일 설 연휴 
👍 3월 1~3일(대체 공휴일 포함) 
👍🏼 6월 6~8일 
👍🏼 8월 15~17일
그리고  5월 3~6일은 4일 연휴와 10월에는 개천절, 추석 연휴, 주말, 한글날이 이어져 7일간 쉴 수도 있습니다. 그렇기에 2025년은 주말과 공휴일을 잘 활용하면 긴 연휴를 즐길 수 있는 해가 될 것입니다. 


대체휴무일
대체휴무일은 특정 공휴일이 주말과 겹칠 경우, 그다음 평일에 주어지는 휴일입니다. 2025년에는 다음과 같은 대체휴무일이 있습니다:

설날 대체휴무 : 1월 31일 (금요일)
추석 대체휴무 : 10월 8일 (수요일)

2025년 휴무일 활용 팁
휴무일을 잘 활용하기 위해서는 미리 계획을 세우는 것이 중요합니다. 예를 들어, 대체휴무일을 활용하여 여행 계획을 세우거나, 가족과의 시간을 더욱 알차게 보낼 수 있습니다. 또한, 공휴일과 주말이 겹치는 경우에는 연휴를 더욱 길게 즐길 수 있으니, 이를 고려하여 일정을 조정하는 것이 좋습니다.


※기타 추가 내용

우리나라 국경일 : 삼일절, 광복절, 개천절, 한글날 (공휴일은 총 4일)
단, 제헌절도 국경일이긴 하지만 공휴일은 아닙니다.

 


 

FAQ: 2025년 휴일에 대한 자주 묻는 질문

1. 2025년에는 며칠의 휴무가 있나요?
👉🏼 2025년에는 총 120일의 휴무가 있습니다.

2.2025년에는 몇 번의 긴 연휴가 있나요?
👉🏼 2025년에는 3일 이상 이어지는 연휴가 6번 있습니다.

3. 2025년 휴일이 주말과 겹치면 어떻게 되나요?
👉🏼 대체휴일은 법정 공휴일이 주말과 겹칠 경우, 그다음 평일에 휴일로 지정됩니다.

4. 휴가를 언제 내는 것이 좋나요?
👉🏼 공휴일 전후로 휴가를 내면 긴 연휴를 즐길 수 있습니다. 
     신정 전후나 추석 연휴를 활용하여 휴가를 내면 긴 연휴를 즐길 수 있습니다.  

 

2025년의 휴일을 활용하여 여행 계획을 세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 특히 긴 연휴가 있는 날에는 미리 여행지를 정하고 예약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. 가족과 함께하는 여행, 친구들과의 소풍 등 다양한 계획을 세워보세요. 또한, 휴일을 이용해 취미 활동이나 자기 계발을 위한 시간을 가지는 것도 추천합니다. 2025년의 휴무일을 잘 활용하여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.



728x90
반응형